본문 바로가기
정부지원 제도 정리/행정·세금·지원금 정리

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)

by 5buza 2025. 8. 11.

실업급여 신청, 이직·경력증명, 정부지원사업 신청까지 — 고용보험 가입이력은 필수 서류입니다. 이 글에서는 PC·모바일 조회부터 실업급여 180일 계산법, 오류 수정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.

한눈에 보는 절차

1

조회

토탈서비스/정부24에서 자격이력 즉시 조회

2

180일 계산

주당 근무일수 × 근무주 = 피보험 180일 확인

3

발급/저장

내역서 PDF 저장·인쇄로 제출 준비

4

오류 정정

불일치 시 확인청구 접수 → 결과 반영 확인



1. 왜 필요할까?

  • 실업급여 자격 확인: 퇴사 전 18개월 내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충족 여부 확인.
  • 이직·경력 증명: 회사 제출용 경력 서류로 활용.
  • 정부지원사업: 청년·재취업 프로그램 등 자격 확인용.
Tip. 기업·기관마다 요구 서식이 다릅니다. 기본은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이며, 주민번호 마스킹 옵션을 활용하세요.

2. 실업급여 180일 계산법

피보험 단위기간은 고용보험에 가입해 실질적으로 근로하고 보험료가 납부된 날을 의미합니다. 휴직·무급휴가 등은 제외될 수 있습니다.

근무 형태 주간 근무일수 필요 근무 주 총 인정일수
주 5일 5일 36주 180일
주 4일 4일 45주 180일
주 3일 3일 60주 180일
일용직 변동 - 실제 가입일 합산

※ 최종 판단은 개인 이력에 따릅니다. 토탈서비스에서 공식 이력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
3. PC로 빠르게 조회·발급 (토탈서비스)

  1. 토탈서비스 접속 → 상단 개인
  2. 간편인증 또는 공동·금융인증서로 로그인
  3. 민원접수/발급자격이력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선택
  4. 조회 후 PDF 저장 또는 인쇄
발급 팁. 회사 제출용이면 주민등록번호 마스킹 옵션을 체크하고 저장하세요.

4. 모바일(정부24 앱)로 간편 조회

  1. 스마트폰에서 정부24 앱 실행
  2. 검색창에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입력
  3. 본인인증 → 즉시 조회/발급 → 휴대폰에 PDF 저장

※ 일부 발급서는 뷰어 앱 설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5. 이력 오류/누락 해결 방법

1) 가입기간 불일치

사업장 신고 누락·지연 가능성이 큽니다. 관할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피보험자격 확인청구서로 정정 요청하세요.

2) 미가입 사업장 신고

근무 사실이 있는데 이력이 없다면 확인청구와 함께 급여이체내역, 근로계약서 등 증빙을 첨부하세요.

3) 문의

근로복지공단 콜센터 1588-0075로 문의하면 팩스 제출 등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주의. 실업급여 신청 전 이력 정정을 완료하세요. 접수 후 정정 시 지급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6. 자주 묻는 질문

Q1. PC 없이 모바일만으로 발급 가능한가요?

네. 정부24 앱에서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검색해 비대면 발급이 가능합니다.

Q2. 180일 계산에 주말·휴일은 어떻게 반영되나요?

근로·가입이 있는 날만 집계됩니다. 주 5일 근무자는 통상 평일 5일이 적립됩니다.

Q3. 단시간·일용직 이력도 합산되나요?

네. 실제 가입·납부된 일수 기준으로 합산됩니다.

Q4. 회사가 폐업해도 조회되나요?

대부분 전산 이력이 남아 조회됩니다. 누락 시 지사에 정정 요청하세요.

당신의 일상에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 공감과 구독은 저에게 큰 힘이 돼요. 오늘도 와주셔서 고마워요!

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)
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완벽 가이드 (2025 최신)